글 수 3,271
일반적으로 Monobactam, vancomycin을 대체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하지만 이것 이외에 어떤게 더 있나요?
그리고 페니실린으로 치료하는 모든 질환에서 알러지가 있을 경우 위와 같은 대체약물로 바꾸면 질병 종류에 상관없이 다 잘 듣나요??
아니면 같은 페니실린으로 치료되는 병이라해도 질환마다 더 잘 듣는 대체 항생제가 따로 있나요?
그리고 페니실린으로 치료하는 모든 질환에서 알러지가 있을 경우 위와 같은 대체약물로 바꾸면 질병 종류에 상관없이 다 잘 듣나요??
아니면 같은 페니실린으로 치료되는 병이라해도 질환마다 더 잘 듣는 대체 항생제가 따로 있나요?
웬만한 경험과 공부가 없으면 사실 완벽히 파악하기가 힘들어요.
학부생 수준으로는 완전하게 이해하려면 시간을 너무 많이 투자해야 돼서 전 국시 수준이라면 차라리 외우는 걸 권합니다.
단순히 예를 들어서
1. otitis media가 있는 소아에게 amoxicillin을 쓰려고 했는데 예전에 allergy가 있었다고 칩시다. 그럼 그 allergy가 경한 것이었으면 cephalosporin을 사용할 수 있겠죠. 그런데 그 allergy가 anaphylaxis였다? 그럼 beta-lactam계열을 전부 쓰기 힘들어집니다. 그 때는 TMP-SMX나 azithromycin 같은걸 써볼 수는 있죠. 그러나 완전하지는 않습니다. 이를테면 drug-resistance가 있는 S. pneumoniae균이라고 하면 효과가 떨어지죠.
2. Syphilis가 있는 환자에게 penicillin을 쓰려고 했는데 allergy가 있다, 그러면 보통 azithro나 doxycycline, ceftriaxone같은걸 고려할 수 있는데, 환자가 임산부다? 그러면 penicillin desensitization을 합니다. azithro 내성이 증가하는 것도 있고 tetracycline계열은 태아기형을 일으키니까 금기죠. ceftriaxone은 왜 못써요? 단순한 이유로 penicillin이 현재로선 임산부에게 효과가 있다고 증명된 유일한 것이니까요.
여튼 항생제마다, 환자요인마다, 균의 종류에 따라 균의 내성에 따라 어떻게 일관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법칙이라는게 잘 없어서 개개인의 케이스를 좀 외우고 익숙해지는게 필요하다고 봅니다. 아마 내과 수련 받는 선생님들도 수련 받을 때는 왜 꼭 이걸 써야하지 잘 모르고 쓰다가 좀 더 경험이 쌓이면 아 이래서 이걸 써야되는 구나 하고 깨닫는 경우가 훨씬 많을 겁니다.
혹시 수정하거나 부연해주실 내과선생님 있으시면 아래↓ 부탁드립니다.
syphilis 치료에 alternative agents로 ceftriaxone, doxycycline이며, azithromycin은 없습니다.
Neurosyphilis일 때에도 alternative agent는 ceftriaxone 뿐입니다.
Gogococcal infection 있는 임산부에 ceftriaxone을 사용하고, animal study에도 태아독성은 없다고 합니다.
다만, ceftriaxone이 제균성은 있지만, optimal dose, optimal duration이 확립되지 않아서, alternative 한 것이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