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3,273
의전원에서 의예과와 학사편입 체제로 복귀하는 대학이 많아지면서 의예과 때 발생학을 가르치는 대학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다른 의대 교수로부터 '얇은 발생학 교과서 신간이 있느냐'는 질문을 종종 받습니다.
그래서 두 권 추천해드립니다. 그림 위주인 얇은 책인데, 둘 다 영국 책입니다.
1. Embryology at a glance 2판. At a glance 시리즙니다 최근에 출간되었기 때문에 최신 지식이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번역서 없습니다.
.
https://www.amazon.com/Embryology-at-Glance-Samuel-Webster/dp/111891080X/ref=mt_paperback?_encoding=UTF8&me=
전자판은 구글에서 팝니다.
2. Embryology: illustrated colour text 2판. 1판 번역서가 있었는데, 절판된 걸로 압니다. 2판 번역서는 없습니다.
https://www.amazon.com/Embryology-Illustrated-Colour-Text-2e/dp/0702032255/ref=mt_paperback?_encoding=UTF8&me=
이상 두 권 모두 그림 위주로 간단히 정리학 책이니 자세한 최신 발생학 지식을 원하는 분들은 Larsen 발생학 신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발생학 교과서 특성 상 그림 많고 글이 적다는걸 감안하면 역시 기초과학 중에서도 특히 마이너한 발생학의 입지가 짐작이 됩니다.
제 경험 상 일차의료인으로서 그나마 좀 자세히 알아야할 부분이라면 일반발생학 부분, 심장발생, 소화기발생, 비뇨생식기계발생 이게 가장 중요하고 많이 반복되더군요. 나머지는 자기 전공분야에 따라...
이미 한 번 발생학 교과서를 다 봤다는 가정 하에 발생 과정을 refresh하는 용도라면 high-yield embryology도 괜찮았습니다. 중요한거 웬만한 건 다 있더군요. Langman 교과서 뒤에 딸려오는 CD에 있는 simbryo도 괜찮았고요.
심지어 발생학 수업이 아예 없는 의대도 있습니다. 모 의전원은 발생학과 생화학 과목이 아예 없습니다. 블럭 강의 때 커버한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총론만 가르치는 의대도 있습니다. 각론은 블럭 강의 때 한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