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al = 목표, directed = 향해, therapy = 치료.
*정확한 것은 아닌데*, 제가 생각하기로는 goal directed therapy 는 어떤 특정한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맞게 치료하는 것입니다.
인터넷에서 검색해서 보게 된 예를 들면 심장 질환 환자에 일반적인 치료를 할 수 있고, pulmonary artery catheter(폐동맥도자)를 삽입한 뒤 특정 수치를 목표로 해서 치료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폐동맥도자를 하면서 goal directed therapy를 하는 것이 그냥 일반적인 치료 보다 꼭 좋은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폐동맥도자의 비용 vs 효과, 합병증 등).
님께서 보신 자료에 Septic shock에서는 무슨 의미로 goal을 잡았는지 모르겠지만 아래 참고 링크에서는 adjustments of cardiac preload, afterload, and contractility to balance oxygen delivery with oxygen demand 로 잡은 하나의 예제입니다.
참고: http://content.nejm.org/cgi/content/abstract/345/19/1368
--------------------------------------------------------------------------------------
항상 말하듯이 본인은 답변의 정확성 및 내용에 대한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으며, 참고사항으로 답변을 제공합니다.
*정확한 것은 아닌데*, 제가 생각하기로는 goal directed therapy 는 어떤 특정한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맞게 치료하는 것입니다.
인터넷에서 검색해서 보게 된 예를 들면 심장 질환 환자에 일반적인 치료를 할 수 있고, pulmonary artery catheter(폐동맥도자)를 삽입한 뒤 특정 수치를 목표로 해서 치료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폐동맥도자를 하면서 goal directed therapy를 하는 것이 그냥 일반적인 치료 보다 꼭 좋은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폐동맥도자의 비용 vs 효과, 합병증 등).
님께서 보신 자료에 Septic shock에서는 무슨 의미로 goal을 잡았는지 모르겠지만 아래 참고 링크에서는 adjustments of cardiac preload, afterload, and contractility to balance oxygen delivery with oxygen demand 로 잡은 하나의 예제입니다.
참고: http://content.nejm.org/cgi/content/abstract/345/19/1368
--------------------------------------------------------------------------------------
항상 말하듯이 본인은 답변의 정확성 및 내용에 대한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으며, 참고사항으로 답변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