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3,266
저는 간호학과 학생인데요 질문 좀 드릴게요[...]
의식이 분명하고 혈액이 역동적으로 보상되지 않는 VT에서도 lidocaine을 bolus로 준다고 하는데요
책에는 VT에서 lidocaine 쓴다는 이야기가 없어서요;
PVC에서 lidocaine 은 사용한다고 나와있는데, VT는 그런 얘기가 없어서;
두가지 경우에서 모두 다 사용할 수 있나요;?
의식이 분명하고 혈액이 역동적으로 보상되지 않는 VT에서도 lidocaine을 bolus로 준다고 하는데요
책에는 VT에서 lidocaine 쓴다는 이야기가 없어서요;
PVC에서 lidocaine 은 사용한다고 나와있는데, VT는 그런 얘기가 없어서;
두가지 경우에서 모두 다 사용할 수 있나요;?
부정맥약 분류상 IA인가 IB에 속하는 약물들이죠...기억이 가물가물해서 죄송.
혈압이 안잡힐때는 defibrillation 해야죠.
VPC의 치료는 대부분 그냥 관찰이고
연속적으로 3개 이상 관찰되는 VPC를 VT라고 하죠.
이때는 VT에 준해서 치료하게 되요.
도움이 되셨길 빕니다.
단형 심실빈맥과 다형심실빈맥으로 나뉘는데요.
단형심실 일땐 수축기 혈압 상태를 봐가면서 약물투여도 중요 해요
수축기가 40%떨어지면 아미오다론과 리도카인이 중요 하거든요.
아닐시에는 거의 프로카인아마이드와 소탈롤 아미오다론 리도카인 써요..
다형일경우도 40%미만일시에는 아미오다론과 리도카인이고여
아닐시에는 베타교감신경차단제와 리도카인 아미오다론 프로카인아마이드 소탈롤 이런 약물을 사용하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