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3,268
먼저 TORCH infection 에서요~
우리학교 병리학 선생님께서는 7가지가 있다고 하시는데, Toxoplasma, Rubella, Cytomegalovirus, Herpes simplex virus 이외에
Others의 경우 syphilis 이외에는 인터넷 사이트, 책, 논문마다 조금씩 다 달라서..
어떤 것이 Others의 대표적인 3가지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병리학적 소견, 증상, 임상 소견 등등을 구분하기가 힘든데요.
병리학적 소견이 병변의 형태, 세포학적 소견 등을 말하는 것인가요?
그리고 임상 소견과 증상의 차이는 무엇인지요?
우리학교 병리학 선생님께서는 7가지가 있다고 하시는데, Toxoplasma, Rubella, Cytomegalovirus, Herpes simplex virus 이외에
Others의 경우 syphilis 이외에는 인터넷 사이트, 책, 논문마다 조금씩 다 달라서..
어떤 것이 Others의 대표적인 3가지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병리학적 소견, 증상, 임상 소견 등등을 구분하기가 힘든데요.
병리학적 소견이 병변의 형태, 세포학적 소견 등을 말하는 것인가요?
그리고 임상 소견과 증상의 차이는 무엇인지요?
2.
1) 병리학적 소견 - Gross/microscopic pathologic finding 즉 예를 들자면 위암 같은 경우에 수술을 해서 보니 antrum에 몇cm 의 mass 가 이러이러한 모양으로 있는데 현미경으로 보니 반지모양의 세포가 보이고 muscularis propria까지 침범했더라... 이런 식으로 나오는 소위 병리 리포트를 말하는 것이겠지요~ 혹시 본2시라면 좀 있다가 실습을 돌게 되면 많이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ㅎ
2) 증상 - symptom 즉 환자가 주관적으로 호소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배가 아파요'
3) 임상 소견 - 좀 포괄적인 의미 같은데요... clinical sign이라고 한다면 징후 즉 의사 등이 객관적으로 관찰한 것이겠습니다. 보통 이학적 검사 등을 통해 알아내는 것들입니다. 예를 들면 'rebound tenderness가 있군!'
2)와 3) 의 차이는 저도 평소 많이 헷갈려하는 것입니다 ㅎ 여기 검색창에 '징후'라고 검색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