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3,251
안녕하세요.
오늘 Choledochal cyst 를 가진 환아를 보았는데요, 공부를 하다보니 symptom triad가 jaundice, pain, RUQ mass라고 되어있어서요.
다른 건 이해가 가는데요, jaundice가 잘 이해가 가질 않아서요.
아직 발생, 병리학적 기전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췌장즙의 역류나, 염증, 감염 등에 의해 유발 될 수 있다고는 나와있는데
황달이란 증상이 cyst에 의한 cholangitis나 pancreatitis같은 질환에 의한 증상인지, 단지 cyst만으로 obstruction이 유발 될 수 있는건지
잘 이해가 가질 않아요.
cyst라면 CBD의 내경이 오히려 넓어지는데, 왜 막히는 증상이 나오나요
오늘 Choledochal cyst 를 가진 환아를 보았는데요, 공부를 하다보니 symptom triad가 jaundice, pain, RUQ mass라고 되어있어서요.
다른 건 이해가 가는데요, jaundice가 잘 이해가 가질 않아서요.
아직 발생, 병리학적 기전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췌장즙의 역류나, 염증, 감염 등에 의해 유발 될 수 있다고는 나와있는데
황달이란 증상이 cyst에 의한 cholangitis나 pancreatitis같은 질환에 의한 증상인지, 단지 cyst만으로 obstruction이 유발 될 수 있는건지
잘 이해가 가질 않아요.
cyst라면 CBD의 내경이 오히려 넓어지는데, 왜 막히는 증상이 나오나요
비슷한 경우로 Bronchiectasis를 생각해 보면, 오히려 기관기가 확장되지만, 이로 인해 가래의 expectoration 장애라던가 지속적인 염증으로 인해 fibrosis 등이 진행되어 내경은 좁아지게 되죠.
글쎄요...
나도 잘은 모르겠는데. 아마도 CC가 일어남으로 해서 bile flow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호스가 하나 있는데 어떤 원인에 의해 호스 중간이 크게 부풀어 올랐다고 하자. 그렇다면 그 호스에서 물배출이 잘 일어날까?
그리고 내부에 bile과 other materials가 뒤섞여 있는데, 이곳에서 저류가 된다면 어떻게 될까? 아마도 몇몇은 굳어서 soluble --> solid material등도 만들겠지?
이것이 역으로 flow를 방해한다면 당근 bile flow partial obstruction등이 일어날 것이고 요것 때문에 jaundice가 일어나지 않을까 싶다.
뭐. 아님 말고.
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