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지장 궤양의 병기는 일반적으로 사끼다(崎田)의
분류법을 사용하는데, 활동기(A1, A2), 치유기(H1, H2),
반흔기(S1, S2)의 3개의 병기로 나눈다. A1기는 깊은
궤양과 기저부에 지저분한 백태가 있고 주위의 발적,
부종 등의 염증이 심하고 주위벽의 부종 융기도 심하
며, A2기는 궤양의 변연이 깨끗하며 백색의 삼출물로
덮여 있다. H1기는 비교적 얕은 궤양에 백태는 깨끗하
고 약간의 재생 상피가 보이고 주름이 궤양 주위까지
완만하게 집중되며, H2기는 궤양 주위에 빗살모양의
재생상피가 현저히 발달되어 있다. S1기는 백태가 소
실되고 중앙부에 작은 발적이 있고 넓은 재생상피를
보이는 반흔이며, S2는 궤양 중앙부에 회백색의 반흔
이 보이고 주름의 집중이 보이는 백색 반흔이다.
참고 링크: http://pdf.medrang.co.kr/paper/pdf/Kjge/Kjges034-20.pdf
--------------------------------------------------------------------------------------
항상 말하듯이 본인은 답변의 정확성 및 내용에 대한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으며, 참고사항으로 답변을 제공합니다.
분류법을 사용하는데, 활동기(A1, A2), 치유기(H1, H2),
반흔기(S1, S2)의 3개의 병기로 나눈다. A1기는 깊은
궤양과 기저부에 지저분한 백태가 있고 주위의 발적,
부종 등의 염증이 심하고 주위벽의 부종 융기도 심하
며, A2기는 궤양의 변연이 깨끗하며 백색의 삼출물로
덮여 있다. H1기는 비교적 얕은 궤양에 백태는 깨끗하
고 약간의 재생 상피가 보이고 주름이 궤양 주위까지
완만하게 집중되며, H2기는 궤양 주위에 빗살모양의
재생상피가 현저히 발달되어 있다. S1기는 백태가 소
실되고 중앙부에 작은 발적이 있고 넓은 재생상피를
보이는 반흔이며, S2는 궤양 중앙부에 회백색의 반흔
이 보이고 주름의 집중이 보이는 백색 반흔이다.
참고 링크: http://pdf.medrang.co.kr/paper/pdf/Kjge/Kjges034-20.pdf
--------------------------------------------------------------------------------------
항상 말하듯이 본인은 답변의 정확성 및 내용에 대한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으며, 참고사항으로 답변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