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3,273
serum osmolality 계산식이 어떻게 유도된건지 궁금합니다.
왜 하필 Na, Glu, BUN을 가지고 계산을 하는건지..
serum안에는 그 외에도 많은 particle들이 있는데 말이죠..
그리고 나누는 숫자들은 어디서 유도된 것이며
그리고 계산은 그렇게 해놓고
BUN은 ineffective osmole이라고 하던데
왜 계산식에는 들어가는지
해리슨 자세히는 안읽어봤지만 안나오는거 같길래요...
알려주세요^^
매번 시험때 그냥 외워왔는데
지나고나면 까먹고 까먹고 해서요..
왜 하필 Na, Glu, BUN을 가지고 계산을 하는건지..
serum안에는 그 외에도 많은 particle들이 있는데 말이죠..
그리고 나누는 숫자들은 어디서 유도된 것이며
그리고 계산은 그렇게 해놓고
BUN은 ineffective osmole이라고 하던데
왜 계산식에는 들어가는지
해리슨 자세히는 안읽어봤지만 안나오는거 같길래요...
알려주세요^^
매번 시험때 그냥 외워왔는데
지나고나면 까먹고 까먹고 해서요..
이건 저도 갑자기 해깔리는데 -ㅇ-;
제 생각에, 틀릴 수 있지만, BUN은 ineffective osmole 맞지만 ECF와 ICF 사이의 물의 재분배에 관여를 안 할 뿐 osmolarity에는 관여한다는 것입니다. 즉, ECF과 ICF 사이의 membrane을 잘 통과해서 증가하더라도, ECF/ICF 사이의 물의 재분배는 관여 안하지만, 많으면 재분배는 아니라도 osmolarity 자체는 커질 것입니다.
--------------------------------------------------------------------------------------
항상 말하듯이 본인은 답변의 정확성 및 내용에 대한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으며, 참고사항으로 답변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