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3,267
RWMA(Regional Wall Motion Abnormality)에서 결과가
The was severely hypokinesia of inferolateral segment at mid, hypokinesia of inferior segment at mid. EF 가 54%
The was severely basal inferior wall, hypokinesia mid inferolateralwall. EF 가 60%
이렇게 결과가 두가지로 나왔습니다. 해석좀 부탁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되면 RWMA가 NO,YES 둘중 무엇이 되나요??
The was severely hypokinesia of inferolateral segment at mid, hypokinesia of inferior segment at mid. EF 가 54%
The was severely basal inferior wall, hypokinesia mid inferolateralwall. EF 가 60%
이렇게 결과가 두가지로 나왔습니다. 해석좀 부탁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되면 RWMA가 NO,YES 둘중 무엇이 되나요??
the was severly hypokinesia of inferolateral segment at mid, hypokinesia of inferior segment at mid, EF가 54%
하벽 가운데 왼쪽(?)측벽의 움직임저하, 하벽 가운데벽 움직임 저하, EF(ejection fraction)이 54% (원래 정상치가 55~78%입니다, 심장펌프능력이
좀 저하된편?)
the was severely (hypokinesia of) basal inferior wall , hypokinesia mid inferolateral wall. EF가 60%
(hypokinesia of)이 빠지지 않았나요?
아래쪽벽 (움직임 저하?), 아래쪽 왼쪽 측벽 움직임 저하, EF가 60%(심장펌프능력은 정상)
이 되겠습니다.
제 해석이 어떻습니까?
미흡하다고 생각되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그럼 한가지만 더 여쭐꼐요....
EF 정상치가 55~78%이면 EF가 이범위안에들면 RWMA(Regional Wall Motion Abnormality)가 움직임 저하라고 나오게 되더라고 정상으로 판독해야 하나요???;;
RWMA(Regional Wall Motion Abnormality) 를 YES 또는 NO로 표기해야 하는 항목이 있어서요;;;;;;
부탁드립니다.
정상으로 판독안되구요..
RWMA를 Yes or No로 표기해야하는 항목은 저도 잘 모르겠는데요..
RWMA움직임이 정상범위 ..55~78%내에..중간치 65%에 근접하는 수치라면..YES라고 표기할텐데요...
두번째 EF가 60%인 경우에는 yes...????.(hypokinesia인데도 EF은 정상수치네요)
처음째 EF 가 54%인 경우에는 Yes/No라 구분 짓기에는 애매하네요...
하지만 두경우 정상이라고 판독은 할수가 없는 상태구요
아마 심손상(MI심근경색...등..여러상황)이 있어 hypokinesia가 온것같네요..
LV wall motion Abnormality 를 EF결과치로 보고 YES 또는 NO로 표기가능할까요??;;
만약에 된다면 수치가 정상범위에 들어올경우 YES 아님 NO 어느것일까요??
그리고 RWMA(Regional Wall Motion Abnormality) 랑 LV wall motion Abnormality 는 무엇을 보기위함인지도 알고 싶습니다.
죄송합니다. 자꾸 질문드려서요;;;;
부탁드리겠습니다.
EF수치가 정상범위에 들더라도 YES/NO로 단정짓기에는 곤란할거 같네요
무슨상황인지는 정확하게 말씀안해주셔서 잘모르겠는데요...
일단 severely hypokinesia 가 온 경우에는 저라면 wall 움직임이 비정상이라고 판단을 내리겠습니다....
제가 무슨상황인지는 잘모르겠지만 좀더 정확한 대답을 원하신다면 영상의학과 전문의 선생님에게
여쭤보면 더 편할거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