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원래 책을 사서 모으길 선호하는 편인데도 의대와서는 교과서 구입하기가 망설여지더군요


1. 교과서 볼 시간이 없다


요즘은 의대에서 "교과서 보는 사람은 유급"이라는 말이 공공연하게 돌 정도입니다

방대한 양을 공부해야하기 때문에 한가하게 교과서 읽고 있을 여유가 없죠

족보 제대로 숙지하고 시험장 가기도 벅차요


동기들과 이야기해봐도 이런식의 학습을 하는거에 회의감을 느끼는 친구들도 몇몇 있습니다만은

결국 현실에 순응하고 열심히 족보 외웁니다. 남들보다 훨씬 많은 시간 투자해서 교과서 읽어봤자

족보에 충실히 공부한 친구들보다 시험을 훨씬 못보거든요


선배들한테 듣기론 저희 학교 선배 중에 정말 시험점수에 연연하지 않고 혼자 고지식하게 교과서 정독하는 분이

있다고 들었는데 그분은 유급했다더군요. 쿨럭....


2. 책이 너무 두꺼워서 휴대가 곤란하다


그 두꺼운 책들을 책가방에 넣고 다니다간 디스크 올지도 모릅니다.

저희 학교도 교과서로 수업나가는 교수님이 몇분 계셔서 교과서가 반드시 필요한 수업이 있는데

강의실옆 사물함에 넣어두고 수업들을때만 꺼내서 수업듣고 다시 넣어둡니다.

무거워서 매일 집에 갖고다니면서 공부 못해요


요즘은 대안으로 태블릿기기를 이용해서 파일로 넣어서 보는 친구들도 있더군요.

그런데 한글번역서의 경우는 파일을 구하기가 매우 힘들다고 하더라구요


3. 가격이 너무 비싸다


10만원 내외 책은 흔하고, 해리슨 같은건 20만원이 넘으니

이 가격이 부담스럽지 않을 정도로 부유한 친구들은 많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4. 판수가 자주 바뀐다


"판수가 자주 바뀌는 교재 =  업데이트가 잘되니 좋은 교재"라고 생각할수도 있지만

교과서를 구입하는 입장에서는 사실 좀 난감한 부분도 있습니다.

당장은 족보보기에 바빠서 교과서 별로 안보더라도, 소장용으로 하나 장만할만한 가치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구입을 했더니

조금 있다가 신판이 나와버려서 제가 갖고 있는 책은 구판이 되어버리고 소장가치가 확 떨어지게 느끼거든요

어차피 조금만 있으면 구판이 될 책을 굳이 비싼 돈 주고 구입해야 하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