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사립대는 물론 강원대 춘천캠퍼스와 삼척도계캠퍼스도 모두 낮아졌습니다. 내년엔 더 심해지겠죠.
저는 의대 입학 정원을 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이나 특정 직업인들의 거창한 명분보다는 이제 사회 전체가 공생하는 방법을 생각해야 할 겁니다. 십시일반하자는 겁니다. 그리고 최근 의대가 왕창 늘어난 미국 사례를 볼 때 앞으로 우리나라도 의사가 더 많이 필요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 말을 하는 저는 의사협회나 의대생들에게 엄청 욕을 먹게 될 겁니다.
최근 들어 소위 좋은 직업이 많이 사라진 냉엄한 현실에서 그나마 좋은 직업인 의사와 변호사는 더 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의사나 변호사는 다른 직원을 고용할 수 있는 직업이니까 나라 전체 청년들의 취업에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생각한 건데, 정부가 정원이 적은 의대가 있는 지방대학에 의대입학정원을 늘여주고, 대신에 다른 학과 정원을 몇 배 더 줄이게 하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예를 들어 강원의대에 입학정원을 10명 늘여서 정원이 59명이 되게 하고, 대신 강원대의 다른 몇 학과(입시 지원자가 많지 않아서 현재 미달되거나 앞으로 미달될 가능성이 높은 X학과, Y학과 등)의 정원을 30~100명 줄이게 하는.. 그러면 X학과와 Y학과 등의 전국 정원이 줄게 되니 이 학과들이 있는 다른 지방대학의 학생 충원에 간접적인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나라 전체로는 대입 정원을 줄이니 좋고.. 물론 강원대의 X학과와 Y학과 구성원들이 희생되는 문제가 생길텐데, 이 분들은 다른 방식으로 보장을 해주어야 할 겁니다.
전문적인 의학지식이 필요한 다른 직업들 때문입니다
법의학이라고 하죠, 사건 사고가 일어날경우 전문적인 의학지식이 있는분들이 법적인 근거로 조사하고 판결하는 직업이요. 또한 요즘 의료사고가 이슈화되고있고 문제가 되고있는데 다들 쉬쉬하기만하고 해결책을 내지 못하고있죠. 이러한 의료사고 담당에도 법의학이나 의학지식을 전문적으로 배운 분이 공무원으로 감찰을 해야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의대는 정원을 늘려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 의사들 처우 개선을 하려면 법을 손봐야 하는것들도 있습니다.
전문적인 의학지식을 가진 분들이 의사들의 처우 개선과 환경 개선을 위해 법을 개정한다면 도움이 되겠죠.
그런 분들이 늘어나려면 의대 정원수 제한부터 풀고, 기회를 줘야합니다.
당장에 효과는 보기 어려워보이지만 향후에 밑거름이 될거기 때문이죠.
물론 의대 정원수만 늘린다고 다 해결되는건 아니지만, 지금 이 글의 논점에서 보듯이, 대학 경쟁률이 낮아지고 있음에도 의대 정원수는 늘려야 한다는 부분에서만 얘기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