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farin 은 PTT 보단 PT 값에 먼저 영향을 줍니다.
왜 그럴까요?
4 가지 개념을 이해하면 답이 나옵니다.
개념 0:
Coagulation system 은 2가지 루트를 통해 활성화 되죠.
하나는 extrinsic pathway 이고, 다른 하나는 intrinsic pathway 입니다.
개념 1:
Extrinsic pathway 는 factor 7 과 tissue factor 가 활성화 됨으로서
가동되고,
Intrinsic pathway 는 factor 8, 9, 11, 12 가 활성화 됨으로서
가동됩니다.
개념 2:
Warfarin 은 vitamin k 에 의존하여 생성되는 clotting factor 들의
생성을 막습니다.
Vitamin K 에 의존하여 생성되는 요소들은
factor 2, 7, 9, 10 (얘네들은 혈전을 만들죠.) 과
protein C, protein S (얘네는 반대로 혈전을 녹입니다.) 가 있습니다.
< 잠깐 다른 얘기: Warfarin 은 혈전을 만드는 요소와 혈전을 녹이는 요소
둘다의 생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초기에 DVT 를 악화 시킬 수도 있고,
그래서 초기에는 heparin 을 투여하면서 warfarin 의 용량을 서서히 올린
다고 어떤분께 들은게 기억이 납니다.
책에서 확인해보진 않았습니다만, 충분히 말이되는 소리죠? >
Warfarin 은 extrinsic pathway 에 보다 먼저 많은 영향을 줍니다.
이는 warfarin이 Extrinsic pathway 가 시작되기 위해 필요한
factor 7 의 형성을 막기 때문이죠.
라고 책에 나와있었습니다.
"음.. 말이 되네.." 하다가 의문점이 생겼습니다.
intrinsic pathway 가 시작되기 위해선 factor 9 이 필요했고
이것의 형성역시 warfarin 에 의해서 저하되기 때문이었습니다.
"아니 그럼 도대체 왜 intrinsic pathway 는 덜 영향을 받는 다는 거야.."
라는 의문점을 가진지 얼마의 시간이 지나고
다른 책에서 답을 찾게 됩니다.
"factor 7 과 protein C 는 다른 요소에 비해 특히 짧은 half-life 를
가지고 있다."
그렇습니다. 그래서 intrinsic pathway 의 factor 9 보단
extrinsic pathway 의 factor 7 에 영향이 더 갔던 겁니다.
그렇지만
Vitamin K 의 부족이 아주 심각하다면 (또는 warfarin 용량이 아주 크다면?),
factor 9 과 intrinsic pathway 또한 영향을 받게 된다고 하네요.
마지막 한개의 퍼즐만 맞추면 되겠습니다.
개념 3:
PT 테스트는 extrinsic pathway 의 상태를 나타내고,
PTT 테스트는 intrinsic pathway 의 상태를 나타냅니다.
결론:
따라서 요점을 정리해보면,
warfarin -> factor 7 -> extrinsic pathway -> PT 수치가 늘어남/높아짐
이 되겠습니다.
vitamin k 부족이 심각하다면 PT 뿐만이 아니라 PTT 수치도 높아진다는
사실도 잊지 마세요.
(내용상 오류가 있다면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