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B(calcium channel blocker)는 arteriole(artery와 모세혈관 사이의 혈관)의 media에 있는 smooth muscle cell의
calcium channel을 막아 세포내로 Ca2+가 유입되는 것을 막게 되구요, 결과적으로 ER내에 있는 Ca2+들이 세포질내로
퍼지는 것을 차단하게 됩니다. 근육이 수축을 하려면 troponin에 Ca2+가 붙어서 actin에 있는 tropomyosin과 myosin이 붙을
수 있도록... 여차저차해서 ;;(생리학 책 참고) Ca2+가 없어서 수축을 못하게 되고 축 늘어져 버린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면 TPR(total peripheral resistance)가 감소하게 되고, 혈압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지요~
그러니까 CCB를 먹으면 혈중Ca농도가 높아져도 근육이 수축을 잘 안하고 심근전도도 느려지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증상 자체는 hypocalcemia때랑 비슷할 수 있다는 것이죠. Bradycardia, AV block 등...(물론 근육 이외에도 Ca2+가 작용하는 곳이 따로 많아서 구별이 됩니다만)
CCB과다복용시와 hypocalcemia때 모두 Calcium Chloride를 먹는데 이는 세포내 Ca2+가 부족해서 그런 것이구요~
calcium channel을 막아 세포내로 Ca2+가 유입되는 것을 막게 되구요, 결과적으로 ER내에 있는 Ca2+들이 세포질내로
퍼지는 것을 차단하게 됩니다. 근육이 수축을 하려면 troponin에 Ca2+가 붙어서 actin에 있는 tropomyosin과 myosin이 붙을
수 있도록... 여차저차해서 ;;(생리학 책 참고) Ca2+가 없어서 수축을 못하게 되고 축 늘어져 버린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면 TPR(total peripheral resistance)가 감소하게 되고, 혈압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지요~
그러니까 CCB를 먹으면 혈중Ca농도가 높아져도 근육이 수축을 잘 안하고 심근전도도 느려지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증상 자체는 hypocalcemia때랑 비슷할 수 있다는 것이죠. Bradycardia, AV block 등...(물론 근육 이외에도 Ca2+가 작용하는 곳이 따로 많아서 구별이 됩니다만)
CCB과다복용시와 hypocalcemia때 모두 Calcium Chloride를 먹는데 이는 세포내 Ca2+가 부족해서 그런 것이구요~
도움이 되었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