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3,271
안녕하세요!
한참 책보고 공부중인데 책에는 이유나 메카니즘이 잘 안나와 있어 그냥 외우기는 좀 힘드네요ㅜㅜ
혹시 아래 질문 답 아시는 분 좀 알려주세용
1. 폐쇄성황달이 있는 담석증에서 이뇨제는 금기다 라고 책에 나와 있는데 왜 그런가요?
2. 궤양성대장염에서 항콜린제, 몰핀은 금기다.
è 항콜린제는 장관운동을 억제하니 대장염에서 염증이 더 악화될 것 같은데,
모르핀은 왜 금기인지 모르겠네요
3. 담석발작시, 급성췌장염에서 모르핀 단독투여 금기다.
è 그럼 다른약과 병용하면 가능하다는 말인가요?
4. IABP는 peripheral vascular disease에서는 금기다.
è IABP는 afterload 줄여서 박출된 혈액이 말초혈관쪽으로 더 잘 유입되기에 좋은 것 아닌가요? 설명보면 catheter에 의한 패색으로 혈행장애를 일으킬수 있기에 금기라고 하네요. 무슨말인지,,,
5. 용혈성빈혈에서 장관내 유로빌리노겐은 증가한다.
è 장관내로 배출된 직접 빌리루빈이 장내 세균의 분해에 의해 유로빌리노겐은 생기는데 용혈성 빈혈에서는 직접 빌리루빈이 아닌
간접 빌리루빈이 증가하는데 무슨 관계 일까요ㅠㅠㅠ
질문이 왠지 옛날 교과서/참고서를 보고 공부해야지 생길 수 있는 궁금증들이 많은 것 같아서... 최신판 교과서로 공부하면 생기지 않을 궁금증들인 것 같습니다.
1. 폐쇄성황달이 있는 담석증에서 이뇨제는 금기다 라고 책에 나와 있는데 왜 그런가요?
Obstructive jaundice환자에게 이뇨제를 사용할만한 상황 자체를 잘 모르겠네요. Obstructive jaundice때문에 뭔가 수술을 한 이후에 urine output이 낮아서 쓸 상황이라면 모를까...
물론 이런 상황에서도 이뇨제 사용으로 renal function protection을 할 수 있다는 근거는 적다고 되어 있습니다만...
2. 궤양성대장염에서 항콜린제, 몰핀은 금기다.
UC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는 toxic megacolon이지요. pathophysiology가 명확하게 밝혀지진 않았지만 antispasmodic drug 역시 toxic megacolon을 일으키는 요인이라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Antimotility계열인 anticholine이나 u receptor agonist들은 지양되는 거지요. (opioid의 가장 흔한 부작용이 변비인 걸 생각하면 쉽죠.)
그런데 그럼 그렇다고 설사가 심한 UC환자에게 loperamide같은 opioid agonist 계열의 지사제를 안 쓰느냐? 그건 또 아니라서...
3. 담석발작시, 급성췌장염에서 모르핀 단독투여 금기다.
Biliary colic에서 morphine을 지양하는 이유는 Sphincter of Oddi spasm을 일으키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금도 pancreatitis가 아닌 acute cholangitis같은 경우는 meperidine이나 NSAID가 좀 더 선호된다고는 합니다.
다만 급성췌장염의 원인이 biliary stone만 있는 거도 아니고, alcoholism이나 hypertriglyceridemia 등 다른 이유도 많죠.
어쨌든 급성췌장염이 이미 있는 환자에겐 일단 parenteral opioid를 사용합니다. 옛날엔 opioid를 지양하라고 가르쳤던 적이 있었던 모양입니다만 지금은 pancreatitis에서 morphine을 지양할 만한 근거는 부족하다는 문헌이 더 많습니다.
IABP는 aorta에 balloon을 집어넣어서 diastolic perfusion을 개선시키는 시술이죠? 그럼 balloon은 어디로 집어넣을까요? peripheral vessel을 통해 guidewire를 집어넣고 심장에 도달하겠죠?
그런데 PAOD가 심한 환자에게 balloon을 집어넣는다고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1. access를 찾기도 힘들거고 2. 설사 찾는다고 하더라도 이미 협착된 vessel이 guide wire에 의해서 더 좁아질거고 3. 그 과정에서 atheroma를 건드려서 cholesterol embolism이 생길 가능성도 있죠.
5. 용혈성빈혈에서 장관내 유로빌리노겐은 증가한다.
물론 indirect bilirubin이 direct bilirubin보다 훨씬 더 많이 증가하겠지만, 적어도 UDP-glucuronosyltransferase가 포화될 때까진 direct bilirubin도 어느 정도 증가한다고 봐야죠.
혹시 잘못된 부분 수정/첨언해주실 선생님 아래 댓글 부탁드려요.
이렇게 자세히 설명해주실줄 몰랐습니다ㅠㅠ
정말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