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3,271
학교 교수님 야마랑 강의록에 hyperkalemia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decreased distal nephron flow (ex. severe volume depletion, heart failure, nsaid 등) 이렇게 나왔는데....뭐...저거의 의도는 collecting duct로 가는 flow가 줄어 결국 distal에서 K+ excretion이 줄어든다는 걸 말하려고 한거같은데... servere volume depletion이면 aldosterone 분비가 늘어나서 contraction alkalosis가 생기고 그에 따라 hypokalemia가 생기는게 맞지않나요..? 야마는 뭐 다른 보기가 확실히 틀린게 잇어서 풀긴햇는데....어떤게 더 우선 순위에 있을까요..? 제가 보기엔 aldosterone 증가로 인한 hypokalemia가 더 우선적인거 같아서요... 답변부탁드려요~
예를들어 pH가 7.1인데 K농도가 4.0이라면 단순하게 포타슘은 괜찮아라고 볼 수는 없지요. (비슷하게 pH가 7.4 심지어 pCO2 40, HCO3 25 라 하더라도 acidosis, alkalosis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