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용어는 가능한 정확하게 표현하는 게 좋죠. 혼동 가능성이 있거나 두루뭉실하게 표현한다면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2018.12.14 21:10:21
Romina
학술용어는 한국어가 더 어렵다 생각합니다.
2018.12.14 22:24:06
박경한
한국어가 더 어려운 게 많죠. 근데 일반인도 알아야 하는 학술용어가 있기 때문에.. 주요 병명은 일반인도 알아야 하고, 주요 법률용어도 일반인이 알아야 하고.. 그래서 의미를 합리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정확한 한글 용어를 만드는 것도 학자가 할 일입니다. 지식은 넓게 퍼져야 사회가 발전합니다.
그리고 흔들린 '아이' 증후군은 1세 미만에 일어나니까 흔들린 '아기' 증후군이 더 구체적이고 정확한 표현이겠죠.
2018.12.15 05:16:50
density
이유는 없고, 한국어 제대로 구사를 못하는 사람이 지은 거겠죠.
2019.01.21 23:15:14
보다보다
흔들린아이와 흔들린아기를 구별해 쓰는 것이 꼭 옳은 것인가요?
13개월 환자일 때 흔들린아기증후군이라 하면 문제가 없나요?
아이에는 아기가 포함되지만 아기에는 아이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baby = infant or the younger child 로 정의한 영어사전도 있습니다.
(얄팍한 지식으로 함부로 남 비난하지 맙시다!!!)
그리고 흔들린 '아이' 증후군은 1세 미만에 일어나니까 흔들린 '아기' 증후군이 더 구체적이고 정확한 표현이겠죠.
13개월 환자일 때 흔들린아기증후군이라 하면 문제가 없나요?
아이에는 아기가 포함되지만 아기에는 아이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baby = infant or the younger child 로 정의한 영어사전도 있습니다.
(얄팍한 지식으로 함부로 남 비난하지 맙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