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3,251
안녕하세요.. 흉부외과를 공부하다가 IABP원리에 대해서 이해가 잘 안가서 도움을 청하려 해요
Diastolic 시에 inflation 되고 systolic 시 deflate되는데요
diastolic시에 systolic perfusion pressure 가 높아져서 coronary blood pressure 가 증가되는건지
왜 afterload 가 줄어드는지 ....이해가 잘안가요 이완기상황과 수축기 상황에 따른 변화에 대해서 가게마틱하게 정리가 안되서요~
구글을 찿아봐도 이해가 잘안도서요..
Diastolic 시에 inflation 되고 systolic 시 deflate되는데요
diastolic시에 systolic perfusion pressure 가 높아져서 coronary blood pressure 가 증가되는건지
왜 afterload 가 줄어드는지 ....이해가 잘안가요 이완기상황과 수축기 상황에 따른 변화에 대해서 가게마틱하게 정리가 안되서요~
구글을 찿아봐도 이해가 잘안도서요..
descending aorta에 balloon이 있다고 생각하시고. (google에 그림이 있던데요..)
balloon의 inflation과 deflation은 펌프 콘솔에서 환자의 심전도를 감지하여 이와 synchronization으로 작동시킨다...라고 하네요..
심장이 diastolic 초기일때, 대동맥 내에서 balloon이 빠른 속도로 대동맥내에서 팽창하게 됩니다. 그러면 대동맥 diastolic augmentation이 되겠죠.
즉, 대동맥 내 pr(ballooning 앞부분, aortic arch부분)가 증가 되게되고, 대동맥 기시부에서 뻗어나가는 관상동맥으로의 혈류 및 산소 공급이 증가 하게 됩니다.
심장 systolic 직전에, 대동맥 내에 balloon은 신속히 deflate되게 되고 일종의 진공효과(차지 하던 balloon이 쭈그러드니깐) 로 대동맥 내의 pr가 감소되게 되죠.
이것은 좌심실에 대한 afterload가 감소하게 하고 심근 산소소모량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대동맥내 balloon pump는 대동맥 확장기압 증가에 의한 관상동맥 혈류 증가와
afterload감소에 의한 좌심실 부담감소로
심근의 산소공급량과 요구량 사이의 균형을 유지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