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3,268
empyema랑 abcess랑 둘다 농이 차는거지요.. 특히 폐농양 같은경우는..
그래서 단순영상상에선 구별이 안갈때가 잇어서( air fluid level 이 있는 empyema같은경우에) CT를찍으면 감별가능하다고 나와있었습니다..
그런데 각각이 잘 개념이 안서서 그런지.. 잘모르겠군요..
일반적으로 abscess는 고름집을 형성하여서 공기-물 층을 만들고 empyema는 늑막강(늑막사이)에 차서 diffuse하게 들어차는것으로 아는데..제가 아는게 잘못된것인지..
empyema도 cavity를 형성할수있는걸로 알고있는데.. 위처럼 단순 사진에서 감별 불가능할때 CT를 보면 어떤점에서 감별이 되는건지.. 좀 가르쳐 주세요..
empyema와 abscess... 이건 이거다! 이렇게 임상적으로 어떻게 구별하는지, 개념을 좀 잡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래서 단순영상상에선 구별이 안갈때가 잇어서( air fluid level 이 있는 empyema같은경우에) CT를찍으면 감별가능하다고 나와있었습니다..
그런데 각각이 잘 개념이 안서서 그런지.. 잘모르겠군요..
일반적으로 abscess는 고름집을 형성하여서 공기-물 층을 만들고 empyema는 늑막강(늑막사이)에 차서 diffuse하게 들어차는것으로 아는데..제가 아는게 잘못된것인지..
empyema도 cavity를 형성할수있는걸로 알고있는데.. 위처럼 단순 사진에서 감별 불가능할때 CT를 보면 어떤점에서 감별이 되는건지.. 좀 가르쳐 주세요..
empyema와 abscess... 이건 이거다! 이렇게 임상적으로 어떻게 구별하는지, 개념을 좀 잡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대부분의 영상의학과/방사선과 책에 CT 감별 포인트를 다루기 있기 때문에 직접 한번 찾아보시길 권장합니다.
--------------------------------------------------------------------------------------
항상 말하듯이 본인은 답변의 정확성 및 내용에 대한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으며, 참고사항으로 답변을 제공합니다.
즉, abscess에서 보이는 특징들은 empyema에서 모두 보일 수 있습니다.
단, 폐 안에 있는 것은 lung abscess라고 합니다.
CT든 MRI이든 또는 simple 사진이든 해부학과 연관시켜서 소견을 상상하시면 됩니다.
---> empyema:당연히 periphery에 있겠죠. 인접한 Lung이 반대쪽으로 밀려있고, 크기에 비해 인접한 폐의 염증소견이 적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