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3,268
타학과 교수에게 '사망 판정 기준'에 관한 문의를 받았습니다. 그래서 제가 임상의학에 무지한데다 요즘 기준은 어떻게 되는지 젼혀 모른다고 답을 드렸습니다만.. 결국 제가 자료를 구해서 전해드리기로 했습니다.
가능한 최근 자료를 구할 수 있는 곳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타학과 교수에게 '사망 판정 기준'에 관한 문의를 받았습니다. 그래서 제가 임상의학에 무지한데다 요즘 기준은 어떻게 되는지 젼혀 모른다고 답을 드렸습니다만.. 결국 제가 자료를 구해서 전해드리기로 했습니다.
가능한 최근 자료를 구할 수 있는 곳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apps.who.int/iris/bitstream/10665/254737/1/WHO-HIS-SDS-2017.5-eng.pdf
비슷한 내용으로 가장 잘 정리된 review article은 다음을 참조하시면 되실듯...
https://www.ncbi.nlm.nih.gov/pubmed/?term=23419370
(Pubmed)
http://www.who.int/servicedeliverysafety/ddcr82.pdf?ua=1
(WHO제공 full text)
당연합니다만, 실제 환자 진료시에는 circulatory-respiratory criteria를 압도적으로 더 많이 사용하지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49&aid=0000129929
환자를 보는 임상의사는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서라도, 제대로 된 기준을 제시할 수 있어야겠죠.
실제로 Congestive heart failure가 심한 환자의 경우 pulse도 약하고 Cheyne-Stokes respiration을 apnea로 충분히 오인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