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3,268
발생학 수업 준비하고 있는데.. 부신 발생 파트를 읽고 있는데..
adrenal cortex와 gonad 발생에는 공통점이 있죠. 관련 기형에 대한 언급이 있어서 검색해봤습니다.
testicular adrenal rest tumor(TART)라는 게 있군요. 이게 실제로는 꽤 많다는 언급이 있군요. 실제 임상에서 자주 발견되는 기형입니까?
발생학 수업 준비하고 있는데.. 부신 발생 파트를 읽고 있는데..
adrenal cortex와 gonad 발생에는 공통점이 있죠. 관련 기형에 대한 언급이 있어서 검색해봤습니다.
testicular adrenal rest tumor(TART)라는 게 있군요. 이게 실제로는 꽤 많다는 언급이 있군요. 실제 임상에서 자주 발견되는 기형입니까?
Heterotopic adrenal cortex는 실제로 testis descending pathway 전체에 걸쳐서 생길 수 있어서 cryptorchidism 수술에서 발견되기도 한답니다.
Testis의 경우 epididymis나 rete tistis 주변에 있는 경우가 많고, 문헌에 따라 보고되는 빈도에 차이가 있는데 2.5%에서 15%까지 보기도 합니다.
병리 교수님께 물어보니 당신 경험으로는 <1%이라고 하시더군요. (물론 selection bias를 고려해야 겠지요)
어쨌든 정확한 빈도는 알기가 힘든데 그 이유는 1. 원래 작고 2. incidental finding인 경우가 많으며 3. 성인이 되면서 regression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 (CAH)와 같은 대사질환에서 보통은 ACTH의 영향으로 adrenal hyperplasia만 생기지만 이런 adrenal cortical rest가 있는 환자의 경우 testicular tumor가 생기기도 하는데
이를 testicular tumor of adrenogenital syndrome (TTAGS) 혹은 testicular adrenal rest tumor (TART)라고 하고 전체 CAH환자의 20-50%정도 생긴다고 보고하는 군요.
어쨌든 병리적으로는 Leydig cell tumor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감별이 좀 힘든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Leydig cell의 형태나 기능이나 adrenal cortex와 매우 유사해서 이런 일이 발생하는 거겠죠.
찾아보면서 생긴 의문이
1. 그럼 ovary에서도 heterotopic adrenal cortex가 있을까요? 네 있다고 합니다. 다만 testis보다 훨씬 더 드물다고 하는군요.
2. 그럼 heterotopic adrenal medulla역시 testis에 생길까요? 네 기원은 다르지만, 생긴다고 합니다. 역시 adrenal cortical rest보다 훨씬 드물지만요.
Reference
Stacey E. Mills. Histology for Pathologists 4e, p. 1022
Ming Zhou et al. High-Yield Pathology: Uropathology, p. 357
Mahul B. Amin et al. Diagnostic Pathology: Genitourinary 2e, p. 846-849
그리고 반대로 primordial germ cell이 adrenal gland로 들어가서 tumor를 형성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무튼 의대생이 인체발생학을 잘 공부하면 질병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하나의 사례임에는 틀림없습니다. 근데 국내에 순수 인체발생학 전공한 교수가 사실상 없다는 게 문젭니다. 저를 포함해서 비전문가들이 인체발생학을 가르쳐야 하는데, 이제 물어볼 사람도 없습니다.
본1때 Kartagener syndrome 공부하면서 ciliary dysfunction이 왜 situs inversus를 일으키는지 궁금해서 밤을 새서 찾아본 기억이 나네요. 발생학 열심히 찾아보니 그 답을 알게 됐죠.
또 생각나는게 RET gene의 gain of function mutation은 multiple endocrine neoplasia (MEN) type 2를 loss of function mutation은 Hirschsprung disease를 일으키죠.
처음엔 배울 땐 서로 너무 다른 두 분야에서 따로 배웠기 때문에 그 둘의 연관을 떠올리지 못하고 별 생각없이 넘겼는데 나중에 생각해보니
1. MEN type 2에서 발생하는 medullary thyroid carcinoma의 기원은 parafollicular C cell이고
2. pheochromocytoma의 기원은 adrenal medulla
3. Hirschsprung disease에서 문제가 되는 enteric nervous system
전부 neural crest cell origin임을 알 수가 있죠. (물론 parafollicular C cell의 기원은 최근엔 neural crest origin이 아니라고도 합니다만...)
병리학에서는 RET gene을 대표적인 proto-oncogene 중 하나로 배우지만, 실제로 RET의 생리적 기능은 neural crest cell의 migration과 development에 관여한다고 하는군요.
Langman, Moore, Carlson, Larsen중에선 오직 Larsen 교과서만이 Hirschsprung's disease와 MEN type2를 동시에 설명하고 있습니다.
발생학을 열심히 공부하지 않았으면 무심코 넘겼을 내용들이죠.
Langman, Moore, Carlson 발생학 저자들은 모두 교수직에서 은퇴한 상탭니다. 그래서 최신 지식 업데이트가 늦습니다. 특히 Langman 발생학은 Larsen에 비해 10~20년 늦습니다. Moore 교수는 90세 넘었음..
Larsen 발생학만 현직 교수들이 집필하고 있음. 원저자(Larsen 교수)는 10여 년 전에 갑자기 사망.. 그 뒤에 다른 교수들이 집필하고 있다고 들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