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3,266
아직 산과 안배웠는데,, 이번에 PBL로 산과를 하거든요 ㅠ
그래서 NST (non stress test)가 나왔는데요,,
해석할줄을 모르겠어요,..
williams나 한글판으로 된 산과학 책 찾아봐도
이 검사는 어떤 때에 한다~
하면 뭘 알 수 있다~
'고점이 15회/분 이상으로 15초 이상 지속되는 태아심박수의 증가가 2회 이상 있는 경우 반응성(정상)으로 판단한다'
뭐 이런 말들은 있는데 실제로 해석하는 방법이 안나와있네요..
원리도 알아야 되지만 실제로 주어진 결과를 해석해 가야 하거든요 ㅠㅠ
이거 해석하는 거 좀 도와주세요 ㅠㅠ
아니면 해석하는 방법 같은거라도 좀 가르쳐주시면 안될까요.. plz..
x축, y축이 뭘 의미하는건지도 모르겠어요 ㅠㅠㅠㅠㅠ (각 눈금은 뭔지,,)
그리고 그래프가 아래 위로 두갠데 이건 대체 뭔가요 ㅠㅠ
첨부파일은 직접 다운 받아서 보시면 더 잘보여요 ㅠㅠ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위는 FHR(fetal heart rate)이고 fetus 에서는 120~160회/분 이 정상범위로 알고 있습니다.
아래는 자궁 수축을 나타낸 것입니다.
자궁이 수축하는 타이밍에 FHR acceleration (태아가 스트레스를 받아서 심박수가 증가하더라~~) 가 나타나는 것으로 봐서 괜찮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군요 ㅋ
FHR pattern 이
early deceleration 인 경우 head compression : 애기 머리가 눌렸다 (괜찮습니다)
late deceleration 인 경우 uteroplacental insufficiency : 태아가 hypoxia에 빠질 가능성이 높고 위험한 상태... 빨리 induction 을 하던지 해야합니다
variable deceleration 인 경우 cord compression : 응급! 빨리 induction을 하던지 해결을 해야합니다
위 그래프에 FM 이라고 써있는거는 fetal movement의 약자인 듯 합니다. 산모가 태동이 느껴질 때 마다 버튼을 누를것 같습니다.
작년에 한 거라 가물가물 하네요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NST에서는 early/late/variable deceleration을 보는 목적이라기보다는 FHR의 변화를 보는 검사입니다.
즉, Contraction stress test나 Intrapartum assessment에서 저 세 가지를 주로 확인합니다. 이 검사들, 산부인과 실습 돌 때 매우 헷갈리죠;
후자 두 가지 검사는 강한 자궁수축이 일어납니다. 이에 따라 deceleration을 유발하여, 태아가 어떤 잠재적인 위험 요소(위에서 설명해주신 것들~)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합니다(일종의 provocation test라고도 볼 수 있겠네요).
반면, NST는 그냥 임신 중인 산모의 배에 일어나는 태동(+- 약한 수축)과 함께, 태아의 심박수가 잘 반응하여 변화하는지를 보는 것입니다. 자율신경계는 정상인지, 태아 곤란 상태인지 확인하는 것이지요(물론 이에 의해서도 late deceleration이 나타날 수도 있으며, 이는 매우 안 좋은 것이라는 느낌이 오지요?).
NST가 시행되는 광경(?)을 이해하시면 그래프도 이해하기 쉬우실 거에요.
http://babybird.files.wordpress.com/2009/04/bellymonitor.jpg
요 사진이 바로 NST 때 산모의 배 모습입니다~ 실습 돌 때도 보기가 쉽지 않죠 ㅎ
'US'는 바로 제시해 주신 그래프의 위쪽, 즉 시간-FHR 그래프를 담당하는 초음파 탐촉자이고 (외래에서 '슉슉슉~'하면서 들리던 태아 심장소리를 기억하세요~)
'toco'는 그래프의 아래쪽, 즉 시간-압력 그래프를 담당하는 압력 측정기입니다(산모 배에 꼭 맞게 둘러서 압력을 측정합니다). 요건 안 할 때도 있습니다. 위에서 설명했듯 자궁 수축보다는 태동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산모는 FM가 나타날 때마다 누를 부저를 손에 들고 있고요~
결국 PBL때 저것을 설명하려면---
1. 그래프의 구성은 이러저러합니다.
2. FHR는 얼마에서 얼마로 정상소견(또는 brady/tachy)이며, baseline oscillation은 5bpm 이상으로 정상입니다.
3. (가로 축 한 칸 당 1분의 속도로 측정했네요)~~분 동안 시행하였고, 그 동안 태동과 동반되어 15초 이상 지속되는 15bpm 이상의 FHR 증가가 2회 이상 나타났으므로, reactive한 소견 보였으며 정상입니다.
4. 그 밖에 terminal cardiotocogram(요것은 위에 잠깐 설명했습니다만 자세히는 교과서 참조~)은 보이지 않습니다.
이 정도로 하시면 충분할 것 같으나 교수님의 성향이나 그 밖에 multiple factor에 의해 평가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아무튼 도움이 되었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