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 항정신병 약물이 도파민 수용체를 차단하다보니 EPS 증상이 나타나는데 파킨슨 증후군의 형태로 나타날 때에는 치료로 항콜린제를 사용하잖아요. 기전을 살펴보니 도파민 수용체가 차단되면 Basal ganglia에서 도파민과 아세틸콜린 분비가 더 항진될 것이고 따라서 활성화된 아세틸콜린에 의해 운동기능 장애가 발생한다고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항정신병 약물의 비 신경학적 부작용으로 입마름, 기립성 저혈압 등을 유발하는 항콜린성 작용도 있더라구요. 해설을 보면 도파민 수용체 뿐 아니라 아세틸콜린 수용체도 차단하여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이라고 하는데...EPS의 파킨슨 증후군 기전하고 좀 앞뒤가 안맞아서 잘 이해가 안됩니다...뇌내에서은 항정신병약물이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차단하지 않나요?? 제가 뭔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 같은데 바로잡아주세요..ㅠ